Linux/Linux Shell Command41 cron 크론(cron)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하는 일종의 시간 기반의 작업 스케줄러 데몬입니다. 반복적으로 특정 명령어나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합니다.크론탭(crontab)은 여러 작업을 시간별로 작성해 놓은 테이블입니다. crontab을 통해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하고, 반복된 시간에 반복된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Ubuntu 설치 시 기본적으로 같이 설치되는데 혹시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명령으로 설치해 줍니다.$ sudo apt update -y$ sudo apt install -y cron 크론탭(crontab) 사용법crontab -e : 크론탭 편집 (관리자 권한이 없는 경우)crontab -l : 크론탭 작업 내용 확인cront.. 2024. 10. 30. nftables - iptables 이제 그만!!! 모든 Linux 관리자는 수년 동안 우리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 온 오랜 Linux 방화벽인 iptables를 사용하여 작업해 왔습니다. 이제 노후화된 iptables를 대체할 새로운 기능인 nftables에 익숙해 져야 할 것 같습니다.nftables는 현대적인 Linux kernel packet 분류 프레임워크로 고전인 xtables( {ip,ip6,arp,eb}_tables ) 환경을 대신하여 새로운 코드가 사용되어집니다. 즉, 리눅스 커널에서 새로운 패킷 필터링 / 방화벽 엔진으로 현재 iptables, ip6tables, arptables, ebtables 로 나뉘어서 사용되던 것을 nftables로 교체 및 통합합니다. 사실, iptables 프레임워크가 서로 다르지만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2023. 9. 30. iptables - 네트워크 설정하기 (포트 포워딩) 배퍼버전(Ubuntu, CentOS, 등)과 상관없이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화벽입니다. iptables 는 커널상에서 netfilter 패킷필터링 기능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습니다. 패킷필터링이란 수신된 패킷의 헤더 정보를 보고 패킷을 폐기할지 수신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헤더에 필터링할 정보인 출발지 ip:port / 도착지 ip:port 등 프로토콜 옵션을 가지며 각각의 전송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특정 조건을 가지고 있는 패킷에 대해 허용(ACCEPT) 및 차단(DROP)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예: # iptables 초기화 iptables -F # 설정 내용 출력 iptables -nL # TCP port 22 를 열어 ssh 접속을 가능하도록 설정 iptables -A .. 2023. 9. 30. useradd -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useradd 명령어는 계정 정보를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 adduser 명령어와 비슷한 기능을 가집니다만 저는 useradd를 주로 사용합니다. 계정을 추가하면 /etc/passwd에 기록합니다. 암호화된 비밀번호 정보는 /etc/shadow에 기록됩니다. 계정이 속한 그룹 정보는 /etc/group에 기록됩니다. 사용자 계정은 영문 대/소문자, '-', '_', '.'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영문 소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사용자 계정에는 고유한 ID 값이 부여되는데 이 값을 UID(User ID)라고 합니다. 옵션(Options): Option Description -u 계정을 추가하면서 사용자의 UID를 직접 지정합니다. > useradd -u -g 계정을 추가하면서 group id를 직접.. 2023. 9. 11. usermod - 사용자 계정 정보 변경 usermod(user modification) 명령어는 이미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관리자만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리눅스 배포판에서 다 실행가능한 명령어입니다. 사용자 아이디 변경 login 약자인 -l 옵션을 사용합니다. 사용법: usermod -l 등록된 계정인지 확인하려면 /etc/password 파일을 확인하면 알 수 있습니다. 옵션(Options) Option Description -d (--home)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변경할 디렉토리는 미리 생성되어야 합니다. -m 옵션을 같이 사용하면 사용하던 홈 디렉토리 파일과 디렉토리도 같이 옮길 수 있습니다. -m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변경 시 기존에 사용하던 파일 및 디렉토리를 옮겨주는 옵션입니다... 2023. 9. 11. du - 리눅스 디스크 사용량 확인 du (Disk Usage) df 명령어가 디스크에 남은(사용 가능한) 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라면 du 명령어는 디렉토리별로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법: du [Options] [FILE]... Options Option Description -a --all 옵션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 디렉토리 기준으로만 사용량을 출력해 주지만 이 옵션은 파일까지도 모두 보여줍니다. -b --bytes 바이트 단위로 보여줍니다. -k --kilobytes KB 단위로 보여줍니다. -m --megabytes MB 단위로 보여줍니다. -B --block-size=SIZE 지정한 블록 크기 단위로 보여줍니다. -h --human-readable 사람이 읽기 좋게 파일단위로 보여줍니다. -d.. 2023. 9. 9.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