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Linux Shell Command41

lsof "list open files" 줄임말로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리눅스에서는 대부분의 디바이스(네트워크, HDD, RAM 등)를 파일 타입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Options option 설명 사용 예 -a 여러 옵션 사용시 AND 연산으로 정보를 출력 $ lsof +D /dev -a -u test -i 특정 프로토콜과 포트 정보를 출력 $ lsof -i TCP:3000 -c 특정 명령어를 사용하는 있는 정보를 출력 $ lsof -c dbus -d 현재 사용중인 파일 디스크립터 기준으로 출력 $ lsof -d 0 -p 특정 PID가 참조하고 있는 프로그램 파일, 라이브러리를 출력 +D 특정 디렉토리의 열린 파일 정보를 출력 $ lsof +D /etc -F 출.. 2022. 7. 1.
mkdir - 디렉토리(폴더) 생성하기 리눅스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려면 "mkdir"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형식: mkdir [옵션] Options Option description -m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설정합니다. -p 상위디렉토리와 함께 생성합니다. -v 디렉토리 생성시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help 도움말을 출력합니다. 사용 예 $ mkdir dir1 $ mkdir -m 666 dir2 $ mkdir -p dir3/dir3_1 # 상위(dir3)가 없으면 생성한다. 2022. 5. 12.
route table 건드려 보기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가 되지 않을 때 라우팅 테이블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라우팅 테이블 확인하기: route -n $ route -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0.0.0.0 10.1.1.1 0.0.0.0 UG 100 0 0 enp8s0 0.0.0.0 10.1.1.1 0.0.0.0 UG 600 0 0 wlp7s0 10.1.1.0 0.0.0.0 255.255.255.0 U 100 0 0 enp8s0 10.1.1.0 0.0.0.0 255.255.255.0 U 600 0 0 wlp7s0 169.254.0.0 0.0.0.0 255.255.0.0 U 1000 0 0 wlp7s0.. 2022. 5. 1.
tree - 디렉터리 및 파일을 트리 형식으로 출력 특정 디렉토리의 하위 구조를 계층적인 구조로 확인하고 싶을 때 "tre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설치해 줍니다. $ tree --version zsh: command not found: tree $ sudo apt install tree $ tree --version tree v1.8.0 (snap) (c) 1996 - 2018 by Steve Baker, Thomas Moore, Francesc Rocher, Florian Sesser, Kyosuke Tokoro 형식: tree [옵션] Option Param Description -a All files are listed (including hidden files/directories) -d List directory o.. 2022. 5. 1.
nice - 프로세스간 실행 우선순위 리눅스에서 프로세스(process, 프로그램)가 실행될 때 nice라는 값을 가지고 실행됩니다. 즉, 여러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을 때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조정하고 싶을 경우에는 nice 값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nice 값의 범위는 -20부터 19까지 가지며 기본값은 0 입니다. nice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고 nice 값이 클수록 우선순위가 낮아집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는 프로세스의 nice 값을 조절할 때는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만 조절이 가능합니다. (중요한 프로세스의 작업을 보호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 nice -n[n] [프로세스명] // 프로세스의 nice 값이 n만큼 증가된 상태로 실행 nice [프로세스명] // 프로세.. 2022. 4. 30.
curl cURL ? curl(client url)은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작동하도록 설계된 서버에서 또는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행 기반 웹 요청 유틸리티입니다. 즉,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해 URL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보낼 때 사용하는 툴입니다. curl을 사용하면 HTTP, HTTPS, SCP , SFTP 및 FTP 등 지원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curl은 전송을 재개하고 대역폭을 제한하며 프록시 지원, 사용자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클라이언트를 코딩을 시작하기 전에 curl 명령어로 서버 동작을 먼저 확인함으로써 좀 더 빠르게 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2. 4. 29.